WEB

· IT/etc.
1. 스레드(Thread)란? 어떤 프로그램 내에서, 특히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를 말하며, CPU 사용하는 기본 단위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스레드를 가지고 있지만, 프로그램 환경에 따라 둘 이상의 스레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행 방식을 멀티스레드라고 한다. 2. 멀티 스레드(multi thread) 일반적으로 하나의 프로세스는 하나의 스레드를 가지고 작업을 수행하지만 멀티 스레드는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둘 이상의 스레드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멀티 스레드는 각 스레드가 자신이 속한 프로세스의 메모리를 공유하므로, 시스템 자원의 낭비가 적다. 또한, 하나의 스레드가 작업을 할 때 다른 스레드가 별도의 작업을 할 수 있어 사용자와의 응답..
· IT/etc.
1. 프로세스(Process)란? 프로세스는 메인 메모리에 할당되어 실행중인 상태인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하드디스크(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상태이다. 프로세스의 stack, data, text, register 등의 값이 프로세스 실행 중에 계속 변하며 한 컴퓨터 내에서 여러 프로세스가 돌아갈 수 있다. 프로세스는 job, task 등으로 불린다. 2. 프로세스의 메모리 구조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은 code, data, stack, heap 영역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간을 가상 메모리(또는 논리적 메모리: logic memory)라고 부른다. 2-1 code 영역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 함수들의 코드가 CPU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계어 명령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되..
· IT/etc.
호스팅(Hosting)이란? 서버 컴퓨터의 전체 또는 일정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임대해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사용자가 직접 서버를 구입하고 운영할 필요 없이 호스팅 업체가 미리 준비해 놓은 서버를 빌려 사용하는 형식이다. 호스팅 서비스의 종류 1. 웹 호스팅(Shared Hosting) 웹 호스팅 혹은 공유 호스팅은 개별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사용자를 위해 서버 컴퓨터의 일부 공간을 임대해 주는 서비스다. 웹 호스팅은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사용자의 사이트를 보여주기 때문에 한 사용자가 서버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하게 되면 서버 내 다른 사용자의 페이지 처리 속도에 영향을 끼쳐 업체마다 정해진 조치를 취한다. 장점은 저렴한 가격도 있지만 서버 관리에 대해 신경 쓸 필요가 없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단독 ..
· IT/etc.
Domain name이란? 사람들이 원하는 사이트에 방문하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입력하는 주소를 말한다. 특정 웹사이트는 각각 고유한 도메인 네임을 가지며, 다른 동일한 이름을 다른 웹페이지에 함께 사용할 수 없다. https://www.naver.com https : protocol www : subdomain naver : name com : extension naver.com : domain name 도메인 네임의 작동 과정 웹 브라우저에 도메인 이름 입력 DNS서버로 요청 전송(특정 도메인에 연결된 이름 서버를 검색하고 요청 전달) 이름 서버는 웹 호스팅 제공자가 관리하며, 관련 IP를 찾으면 웹 사이트 파일이 저장된 웹 서버로 요청 전송 웹 서버는 IP를 사용하여 연결된 모든 파일 찾은 후 모든 ..
· IT/etc.
URI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통합 자원 식별자는 특정 리소스를 식별한다. 자원의 위치뿐만 아니라 자원에 대한 고유 식별자로서 URL 의미를 포함한다. URI의 존재는 인터넷으로 요구되는 기본 조건으로 인터넷 프로토콜에 항상 붙어다닌다. 웹 기술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 리소스를 식별하는 고유한 문자열 시퀀스다. URI의 하위 개념으로 URL, URN이 있다. Uniform: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Resource: 자원,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것 자원은 웹 브라우저의 파일만 뜻하는 게 아닌 실시간 교통정보 등 우리가 구분할 수 있는 것은 모든 게 리소스가 된다. Identifier: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 URI의 구조 scheme..
· IT/etc.
브라우저(Browser)란? 웹 브라우저는 동기(Synchronous)적으로 (HTML + CSS), Javascript 언어를 해석하여 내용을 화면에 보여주는 응용 소프트웨어이다.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필요한 리소스를 요청하면 서버는 응답하고 웹 브라우저는 이를 해석한 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보통 자원은 HTML 문서지만 PDF,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웹 브라우저의 종류는 크롬, 네이버 웨일, 파이어폭스, 사파리 등이 대표적이며 매우 다양하다. 서버의 응답은 주소를 통해 요청하는데, 이 주소를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라고 한다. 브라우저의 구조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이다. URI를 입력할 수 있는 주소 표시줄, 이전/다음 버..
· IT/etc.
Protocol 프로토콜(Protocol)은 컴퓨터 내부 또는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이다. 장비간 통신은 교환되는 데이터 형식에 대해 상호 합의를 요구하며, 이런 형식을 정의하는 규칙의 집합을 프로토콜이라 한다. HTTP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두문자어로,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서버의 프로토콜이기도 하다. 브라우저인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를 요청(request)라고 하며, 서버에서 응답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응답(response)라고 한다. 각각의 개별적인 요청들은 서버로 보내지며, 서버는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제..
· IT/etc.
인터넷 인터넷(Internet)이라는 단어를 Inter-net으로 나누면, 내부 망 이라는 뜻이다. 인터넷의 사전적 정의는 '컴퓨터들이 연결된 통신망'이다. TCP/IP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들이 전세계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이다. 전 세계에 깔린 광케이블 또는 UTP등으로 직접 연결되며 어느 하나에 의존적이지 않고 분산된 네트워킹 시스템이다. 현재는 와이파이라는 기술이 등장했지만, 과거에는 전화선에 종량제 모뎀 인터넷 선을 연결해 인터넷을 사용했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서로간의 연결이 필요한데, 이러한 연결을 통해 형성된 네트워크가 곧 인터넷이다. 하나의 컴퓨터를 다른 하나의 컴퓨터와 연결하는 것을 시작으로 복잡한 수준의 연결로 확장될 수 있다. 계속 연결되면 네트워크는 무척이나 복잡하게..
Huitopia
'WEB' 태그의 글 목록